맨위로가기

라몬 막사이사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몬 막사이사이는 1907년 필리핀에서 태어난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항일 게릴라로 활동하며 명성을 얻었다. 1950년 국방장관으로 임명되어 공산 게릴라 토벌에 주력했으며, 1953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제7대 필리핀 대통령이 되었다. 대통령 재임 기간 중 그는 반공주의를 표방하며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 설립을 주도했으며, 국민 중심적인 정책을 펼쳤다. 1957년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으며, 사후 그의 청렴함과 업적을 기려 막사이사이상이 제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잠발레스주 출신 - 루 다이아몬드 필립스
    루 다이아몬드 필립스는 필리핀 태생으로 미국에서 성장한 배우, 감독, 각본가이며, 영화 《라밤바》의 리치 발렌스 역으로 스타덤에 오른 후 다양한 영화와 TV 시리즈, 브로드웨이 뮤지컬에서 활약하며 아시아 태평양 엔터테인먼트 연합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다양성 옹호에도 기여하고 있다.
  • 잠발레스주 출신 - 제럴드 앤더슨
    필리핀 출신 배우이자 모델인 제럴드 앤더슨은 2006년 《피노이 빅 브라더: 틴 에디션》으로 데뷔 후 킴 치우와 러브팀으로 활동하며 드라마와 영화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필리핀 해안 경비대 보조원으로도 활동한다.
  • 필리핀의 반공주의자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필리핀의 제10대 대통령으로 경제 발전과 사회 안정에 기여했으나, 계엄령 선포 후 권위주의 통치, 인권 유린, 부정 축재 등으로 논란이 많았으며 에드사 혁명으로 망명 후 사망, 영웅묘지 안장 또한 논쟁을 야기했다.
  • 필리핀의 반공주의자 - 피델 V. 라모스
    피델 V. 라모스는 필리핀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1992년부터 1998년까지 제12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경제 개혁과 국가 통합을 추진했고,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 에둘사 혁명에 참여하여 마르코스 축출에 기여, 코라손 아키노 정부에서 육군 참모총장과 국방장관을 역임했다.
  • 필리핀의 장관 -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는 필리핀의 정치인으로,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필리핀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92년 상원의원에 당선되었으며, 1998년 부통령에 당선되어 2001년 에드사 혁명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고, 2004년 재선에 성공했다.
  • 필리핀의 장관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필리핀의 제10대 대통령으로 경제 발전과 사회 안정에 기여했으나, 계엄령 선포 후 권위주의 통치, 인권 유린, 부정 축재 등으로 논란이 많았으며 에드사 혁명으로 망명 후 사망, 영웅묘지 안장 또한 논쟁을 야기했다.
라몬 막사이사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라몬 막사이사이
라몬 막사이사이
이름라몬 막사이사이
본명라몬 델 피에로 막사이사이
출생일1907년 8월 31일
출생지이바, 잠발레스, 필리핀
사망일1957년 3월 17일
사망지발람반, 세부, 필리핀
사망 원인비행기 추락
안장 장소마닐라 북부 공동묘지, 산타크루스, 마닐라, 필리핀
배우자루스 반손 (1933년 결혼)
자녀테레시타
밀라그로스
라몬 주니어
서명
정치 경력
소속 정당국민당 (1953–1957)
자유당 (1946–1953)
필리핀 대통령
대수제7대
임기 시작1953년 12월 30일
임기 종료1957년 3월 17일
부통령카를로스 P. 가르시아
이전 대통령엘피디오 키리노
다음 대통령카를로스 P. 가르시아
국방부 장관
1차 임기 시작1954년 1월 1일
1차 임기 종료1954년 5월 14일
1차 임명 대통령자신
1차 이전 장관오스카르 카스텔로
1차 다음 장관소테로 B. 카바후그
2차 임기 시작1950년 9월 1일
2차 임기 종료1953년 2월 28일
2차 임명 대통령엘피디오 키리노
2차 이전 장관루페르토 칸글레온
2차 다음 장관오스카르 카스텔로
필리핀 하원 의원
선거구잠발레스의 단독 선거구
임기 시작1946년 5월 28일
임기 종료1950년 9월 1일
이전 의원발렌틴 아파블
다음 의원엔리케 코르푸스
잠발레스 주지사 (군정)
임기 시작1945년 2월 1일
임기 종료1945년 3월 6일
이전 주지사호세 코르푸스
다음 주지사프란시스코 아노나스
임명권자더글러스 맥아더
군 복무
소속필리핀 연방 육군
복무 기간1942–1945
계급대위
부대제31 보병 사단
주요 전투제2차 세계 대전
바탄 전투
필리핀 항일 운동
학력
모교필리핀 대학교
호세 리살 대학교 (상업학 학사)
훈장
훈장QSC
GCGH
KGE
GCC

2. 생애

라몬 막사이사이는 1907년 8월 31일 필리핀 루손섬 이바에서 태어났다.[3] 아버지 엑스큐엘 막사이사이는 기술선생이었고, 어머니는 독실한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였다.[46][47] 그는 순혈 말레이인 출신으로, 부모의 영향으로 엄격한 교육과 종교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46][47]

젊은 시절의 막사이사이


막사이사이가 6살 때, 아버지는 미국인 교장과의 갈등으로 실직[47]하고 대장간을 열었다. 막사이사이는 어려운 가정 형편 속에서 호세 리살 대학교 경영학과 재학 시절[48] 하숙집 주인의 운전사로 일하며 학업을 이어갔고, 이후 복학하여 졸업했다. 그는 필리핀대학교에서 기계공학을 전공[4]하다가 호세 리살 대학교에서 상업학 학위를 취득[4]한 후, 버스 회사[5]에서 자동차 정비공과 공장 관리자로 근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초반, 막사이사이는 필리핀군 제31보병사단의 차량 정비소에 합류했다. 1942년 바탄 반도 항복 후, 그는 서루손 게릴라 부대를 조직하고 대위로 임관,[6] '차우'라는 암호명으로 보급 장교 및 지휘관으로 활동했다.[6] 일본군 헌병대에 의해 총살당한 개신교 목사 부인의 도움을 받으며 게릴라 지도자로 활약했고, 1945년 미군 상륙 전 잠발레스 해안에서 일본군을 제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게릴라 전투원으로 활동하던 막사이사이


전쟁 후, 막사이사이는 1946년 자유당에 입당하여 하원의원에 당선, 국방위원장에 선출되었다. 1948년에는 마누엘 로하스 대통령에 의해 워싱턴 D.C.에 파견되어 필리핀 참전 용사들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법안 통과를 지원했다.[7] 1949년 재선된 그는 하원 국방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1950년 8월, 막사이사이는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에게 공산 게릴라와 싸우는 계획을 제시했고, 키리노 대통령은 그를 국방장관으로 임명했다.[8] 그는 후크발라합 게릴라에 대한 작전을 강화했고, 에드워드 랜스데일 대령의 도움으로 군의 이미지를 향상시켜 국민들의 존경을 받았다.[9] 귀순자들에게 토지와 농기구를 제공하고, 정부군에게는 국민들을 정중하게 대하도록 했으며, 군대를 개혁하여 부패한 장교들을 해임하고 게릴라와의 전투에서는 기동성과 유연성을 강조하여 '태평양의 아이젠하워'라는 별명을 얻었다.

1952년 6월, 막사이사이는 미국과 멕시코를 방문하여 뉴욕, 워싱턴 D.C., 멕시코시티를 방문하고 라이온스 클럽 국제협회 연례 총회에서 연설했다.

1961년 영화 ''The Moises Padilla Story''의 극장 포스터. 1951년 사건을 다룬다.


1951년, 막사이사이는 그의 정치적 동맹인 모이세스 파딜라가 고문당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네그로스 오시덴탈주로 달려갔지만, 파딜라는 이미 사망한 후였다.[12] 막사이사이는 파딜라의 시신을 직접 영안실로 옮겼고,[13] 이 사건은 1953년 대통령 선거 운동에 활용되었다.

1953년 초, 막사이사이는 키리노 정부의 정책에 반발하여 국방장관직을 사임하고 자유당을 탈당,[10] 민족주의당의 대통령 후보가 되었다.[11]

1953년 11월 10일 대통령 선거에서 막사이사이는 엘피디오 키리노 현직 대통령을 누르고 필리핀 대통령직을 차지했다. 그는 필리핀에서 선거 운동가요를 사용한 전례를 만들었으며, "맘보 막사이사이(Mambo Magsaysay)"등의 선거 운동가요가 사용되었다. 미국 정부, 특히 중앙정보국(CIA)은 1953년 선거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16][17]

1950년대 초 그의 지휘 아래 공산주의 계열 반정부 조직인 후크발라하프(후크단)을 궤멸시켰다. 이러한 냉전 시대의 반공주의적 태도가 높이 평가받은 것을 배경으로, 1953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을 큰 차이로 누르고 승리하여, 12월 30일 대통령에 취임했다.

2. 1. 출생과 성장 배경

라몬 막사이사이는 1907년 8월 31일 필리핀 루손섬 이바에서 아버지 엑스큐엘 막사이사이와 어머니 사이에서 여섯 남매 가운데 차남으로 태어났다.[3] 그의 아버지는 전문학교 기술선생이었으며, 어머니는 독실한 로마 가톨릭교회 교인이었다. 스페인 혼혈이 주류였던 필리핀 지배계급과 달리, 막사이사이는 대다수 필리핀 국민들과 마찬가지로 순혈 말레이인 출신이었다. 독실한 로마 가톨릭 신자였던 부모의 영향으로, 막사이사이는 아버지의 엄격한 교육과 어머니의 종교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46][47]

막사이사이가 6살 때인 1913년, 아버지 엑스큐엘 막사이사이는 미국[46] 교장과의 갈등으로 실직[47]하고, 가족 부양을 위해 새벽 3시에 공사장에 나가 일하며 돈을 모아 대장간을 열었다.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막사이사이는 호세 리살 대학교 경영학과 재학 시절[48] 하숙집 주인의 운전사로 일하며 학업을 이어갔다. 이후 복학하여 호세 리살 대학교를 졸업했다.

필리핀, 스페인, 중국계 혼혈인 라몬 델 피에로 막사이사이(Ramon del Fierro Magsaysay)는 잠발레스주 이바에서 태어났다.[3] 아버지는 대장장이였던 에케키엘 데 로스 산토스 막사이사이(Exequiel de los Santos Magsaysay)였고, 어머니는 중국계 혼혈이었던 교사 겸 간호사 퍼펙타 킴손 델 피에로(Perfecta Quimson del Fierro)였다.[6][3]

막사이사이는 카스티예호스에서 초등학교를, 잠발레스주 산 나르시소의 잠발레스 아카데미(Zambales Academy)에서 고등학교를 다녔다.[4] 1927년 필리핀대학교에 입학하여 기계공학을 전공했다.[4] 학업과 생계를 병행하기 위해 운전기사로 일했고, 1928년부터 1932년까지 호세 리살 대학교(당시 호세 리살 칼리지)에서 상업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4] 졸업 후에는 버스 회사[5]에서 자동차 정비공과 공장 관리자로 근무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항일 투쟁

제2차 세계 대전 초반, 막사이사이는 필리핀군 제31보병사단의 차량 정비소에 합류했다. 1942년 바탄 반도가 항복하자 산으로 피신하여 서루손 게릴라 부대를 조직하고 대위로 임관되었다.[6] 그는 3년 동안 프랭크 메릴 대령의 게릴라 부대에서 '차우'라는 암호명으로 보급 장교 및 1만 명의 병력을 지휘하는 지휘관으로 활동했다.[6]

막사이사이는 잡화상을 운영하던 개신교 목사 부인의 도움을 받으며 게릴라 지도자로 활약했다. 이 부인은 일본군 헌병대에 의해 총살당했다. 막사이사이는 1945년 1월 29일 미군과 필리핀 연방군이 상륙하기 전 잠발레스 해안에서 일본군을 제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3. 정치 입문과 국방장관 재임

전쟁이 끝나고 1946년 부인의 권유로 자유당에 입당, 하원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하원에서 국방위원장에 선출되었고, 1948년에는 마누엘 로하스 대통령에 의해 게릴라 업무 위원회 위원장으로 워싱턴 D.C.에 파견되어 필리핀 참전 용사들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로저스 참전 용사 법안 통과를 지원하기도 했다.[7] 1949년 총선에서 재선된 그는 두 번의 임기 동안 하원 국방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1950년 8월, 막사이사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게릴라전 경험을 바탕으로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에게 공산 게릴라와 싸우는 계획을 제시했다. 키리노 대통령은 1950년 9월 막사이사이를 국방장관으로 임명했고,[8] 그는 후크발라합 게릴라에 대한 작전을 강화했다. 전직 광고 전문가이자 CIA 요원인 에드워드 랜스데일 대령의 도움으로, 반란 진압 작전에 군인들을 활용하여 원격지 및 지방 사회에 구호 물품을 지원했다.[9] 막사이사이의 노력으로 군의 이미지가 향상되어 국민들의 존경과 찬사를 받게 되었다.

막사이사이는 농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 귀순자들에게 토지와 농기구를 제공하고, 정부군에게는 국민들을 정중하게 대하도록 했다. 또한 군대를 개혁하여 부패하고 무능한 장교들을 해임하고 게릴라와의 전투에서는 기동성과 유연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그는 '태평양의 아이젠하워'라는 별명을 얻으며 명성을 쌓았다.

1952년 6월, 막사이사이는 미국과 멕시코를 방문하여 뉴욕, 워싱턴 D.C., 멕시코시티를 방문하고 라이온스 클럽 국제협회 연례 총회에서 연설했다.

1951년, 막사이사이는 그의 정치적 동맹인 모이세스 파딜라가 주지사 라파엘 락손의 부하들에게 고문당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네그로스 오시덴탈주로 달려갔지만, 파딜라는 이미 14발의 총탄을 맞고 사망한 후였다.[12] 막사이사이는 파딜라의 시신을 직접 영안실로 옮겼고, 이 사진은 다음 날 신문에 실렸다.[13] 이 사건은 1953년 대통령 선거 운동에 활용되었다. 1952년 1월에 시작된 락손에 대한 재판에서 막사이사이와 그의 부하들은 증거를 제시하여 락손과 그의 부하들에게 유죄 판결을 받게 했다.[12] 1954년 8월, 락손과 그의 부하들은 전기 의자형을 선고받았다.[14]

1953년 초, 키리노 정부의 정책에 반발한 막사이사이는 "공산주의를 조장케 하는 정부의 태도는 묵과할 수 없다"는 비판을 하며 국방장관직을 사임하고 자유당을 탈당했다.[10] 그는 민족주의당의 대통령 후보가 되었고,[11] 전당대회에서 카밀로 오시아스 상원의원과 경쟁했다.

2. 4. 1953년 대통령 선거

1953년 11월 10일 필리핀에서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다. 엘피디오 키리노 현직 대통령은 재선에 실패하고, 전 국방장관 라몬 막사이사이가 필리핀 대통령직을 차지했다. 막사이사이는 필리핀에서 선거 운동가요를 사용한 전례를 만들었는데, 그의 취미 중 하나가 춤이었기 때문이다. 선거 기간 동안 사용된 선거 운동가요로는 "맘보 막사이사이(Mambo Magsaysay)", "우리는 막사이사이를 원한다(We Want Magsaysay)", 그리고 "막사이사이 맘보(The Magsaysay Mambo)"가 있다.

미국 정부, 특히 중앙정보국(CIA)은 1953년 선거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후보들은 미국의 지지를 얻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했다.[16][17]

1946년 7월 필리핀 독립 이후 하원 국방위원장과 국방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1950년대 초 그의 지휘 아래 공산주의 계열 반정부 조직인 후크발라하프(후크단)을 궤멸시켰다. 이러한 냉전 시대의 일관된 반공주의적 태도가 높이 평가받은 것을 배경으로, 마그사이사이는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주필리핀 대사 등의 지지를 얻어 1953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11월 10일 투표에서 재선을 노리는 현직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을 큰 차이로 누르고 승리하여, 12월 30일 대통령에 취임했다.

3. 대통령 재임 (1953-1957)

막사이사이는 1953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에서 엘피디오 키리노를 누르고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1953년 12월 30일, 마닐라의 독립 그랜드스탠드에서 취임식을 가졌으며, 필리핀 대통령 최초로 바롱 타갈로그를 입고 취임 선서를 했다.[18] 필리핀 대법원장 리카르도 파라스가 취임 선서를 집행했으며, 막사이사이는 부모님에게 받은 두 권의 성경에 손을 얹고 선서했다.[20][21]

대통령으로서 막사이사이는 미국의 강력한 지지자였으며, 냉전 시기 공산주의에 맞서는 확고한 입장을 보였다. 1954년에는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 창설을 주도하여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남서 태평양 지역의 공산주의 확산을 막고자 했다.

그는 말라카냥궁을 "국민의 집"으로 선언하고 대중에게 개방하여 국민과의 소통을 중시했다. 필리핀 공군(PAF) 새 비행기 시범 비행 후, 운영 비용을 개인 수표로 지불하는 등 청렴한 면모를 보이며 국민의 신뢰를 얻었다.[19]

3. 1. 취임 초기

1953년 국민회의당에 입당하여 동년 4월 대통령 후보자로 출마, "내가 먹기 전에 국민이 먹어야 한다. 나의 부친이라도 범법하면 감옥에 보내겠다" 등의 요지로 유세하였다. 국민당은 물론이고 원내 제3당을 구성하고 있던 카를로스 P. 로물로 등의 지원을 받아 11월 2대 1이란 대차로 키리노를 이겨 제7대 대통령이자 필리핀 공화국 제3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18] 그는 대통령이 된 뒤에도 의전상의 예우를 간소화하는 등 서민적인 생활을 함으로써 서민 대통령으로 알려졌다. 또한 대통령 임기 중 막사이사이는 그의 가족 및 측근에게 어떠한 혜택도 부여하지 않았다. 그리고 도로, 다리, 및 건물 등이 자신의 이름을 따라 호명되는 것을 허락지 않았다.

취임 직후 그는 자신을 일개의 병사(兵士)로 자처하고, 토지 분배를 비롯하여 학교 건설 및 부정으로부터의 국민 보호를 약속에 앞서 실천함으로써 국민의 절대적인 지지를 얻었다. 그러나 막사이사이는 필리핀 사회의 모든 국면에서 개혁을 단행할 것을 공약했으나 부유층의 이익을 대변하는 의회의 보수성으로 말미암아 좌절을 겪기도 했다.

1953년 12월 30일 수요일, 마닐라에 있는 독립 그랜드스탠드에서 취임 선서를 했다.[18] 그는 필리핀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바롱 타갈로그를 착용했다. 당시 그는 "맘보 막사이사이"라고 불렸다. 역시 바롱 타갈로그를 입은 당선 부통령 카를로스 가르시아도 함께했다.[19] 취임 선서는 필리핀 대법원장 리카르도 파라스가 집행했다. 필리핀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취임식에서 성경에 손을 얹고 선서했다.[20] 그는 양쪽 부모님으로부터 받은 두 권의 성경에 손을 얹고 선서했다.[21]

대통령으로서 그는 미국의 측근이자 지지자였으며, 냉전 기간 동안 공산주의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하는 목소리를 냈다. 그는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및 남서 태평양 지역의 공산주의-마르크스주의 운동을 꺾기 위한 목적으로, 1954년 마닐라 조약으로도 알려진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의 설립을 주도했다.

그의 임기 동안 그는 말라카냥 궁전을 문자 그대로 "국민의 집"으로 만들어 대중에게 개방했다. 그의 청렴성을 보여주는 한 가지 예로, 필리핀 공군(PAF) 소속의 새 비행기에 시범 비행을 한 후, 막사이사이 대통령은 그 유형의 항공기의 시간당 운영 비용을 물은 다음 PAF에 개인 수표를 써서 자신의 비행 비용을 지불했다. 그는 국민의 군대와 정부에 대한 신뢰를 회복했다.

1950년대 초 그의 지휘 아래 공산주의 계열 반정부 조직인 후크발라하프(후크단)을 궤멸시켰다. 이러한 냉전 시대의 일관된 반공주의적 태도가 높이 평가받은 것을 배경으로, 막사이사이는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주필리핀 대사 등의 지지를 얻어 1953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11월 10일 투표에서 재선을 노리는 현직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을 큰 차이로 누르고 승리하여, 12월 30일 대통령에 취임했다.

취임식에 민족 의상인 바롱 타갈로그를 입고 참석한 것을 시작으로, 이후 공식석상에서 이 의상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대통령으로서는 처음 있는 일이었다. 또한 말라카냥궁을 "국민의 집"House of the People영어으로 여기고, 누구든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적인 공간으로 만들었다.

3. 2. 국내 정책

막사이사이의 정책은 서민과 빈곤층을 위한 정책이었다. 빈민가 주민들은 그를 "진정한 사나이"라고 불렀다. 그는 필리핀 동부 바랑가이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빈민가와 낙후된 지방에 공동 우물을 설치하여 가난한 이들이 이용하게 하였다. 이 우물은 "막사이사이 우물"이라고 불린다.

그는 농민 위주의 토지개혁안을 제출하였으나 필리핀 상,하원의 담합과 반대로 통과되지 못했다. 기아에 허덕이는 농민들에 대한 정부 각료들의 무관심으로 사태가 악화되면서 그가 국방장관 시절 후크발라합 진압을 통해 쌓은 공적이 물거품이 되고 반정부 시위까지 나타났다. 그러나 다수 국민의 지지와 청렴한 행정으로 위기를 모면하였다.

경제개발군단(EDCOR)의 기능을 강화하고 안정시키기 위해 국가재정착복구청(NARRA) 설립을 추진했다.[2] 이 기관은 EDCOR을 인계받아 3,000가구의 빈곤 가정에 약 65000acre의 토지를 제공했다.[2] 또한 1,500가구가 조금 넘는 무토지 농민들에게 25000acre의 토지를 할당하여 농민이 되도록 지원했다.[2]

농촌 주민을 위한 추가 지원으로[2] 농업신용협동금융청(ACCFA)을 설립하여 농촌 신용을 제공했다. 기록에 따르면 이 기관은 거의 1000만달러를 지원했으며, 협동 마케팅에도 주력했다.[2]

농촌 지역 지원을 위해 관정 캠페인을 시작했다. 자유 관정 협회(Liberty Wells Association)라는 집단 운동을 통해 상당한 자금을 조달하여 많은 관정을 건설했다. 국민들은 이에 대해 깊은 감사를 표했다.[2]

광대한 관개 사업과 암부클라오 발전소(Ambuklao Power plant) 및 기타 유사 발전소의 개선은 마그사이사이 대통령의 농촌 개선 프로그램을 현실로 만드는 데 크게 기여했다.[2]

마그사이사이 대통령은 토지 개혁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다음 법률을 제정했다.

  • 1954년 공화국 법률 제1160호 – LASEDECO를 폐지하고 반란군과 무토지 농민을 재정착시키기 위해 국립이주재정착청(NARRA)을 설립. 특히 반군 귀환자들에게 팔라완과 민다나오의 주택용지와 농지를 제공.
  • 1954년 공화국 법률 제1199호 (농업 소작법) – 지주와 소작농 간의 관계를 규율. 소작농의 토지 소유권을 보장하고 농지 관계 법원을 설립.
  • 1955년 공화국 법률 제1400호 (토지 개혁법) – 개인의 경우 200헥타르 이상, 법인의 경우 600헥타르 이상의 대규모 소작 벼농사 및 옥수수 경작지를 취득 및 분배할 책임이 있는 토지 소유 관리청(LTA)을 설립.
  • 공화국 법률 제821호 (농업 신용 협동 금융 관리청 설립) – 소규모 농민과 지분 소작농에게 6~8%의 저금리 대출을 제공.[23]


마그사이사이 정권 하에서 경제는 계속 성장했다. 1954년부터 1956년까지 GDP 성장률은 7.2%였고, 1인당 소득은 1954년 7339PHP에서 1956년 8073PHP로 증가했다.

3. 3. 대외 정책

막사이사이 대통령 시절, 그의 행정부는 아시아에서 공산주의 확산에 적극적으로 맞섰다. 그는 1954년 9월 8일 마닐라에서 열린 "마닐라 회의"에서 설립된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의 회원국으로 필리핀을 가입시켰다.[26] SEATO 회원국들은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을 승리할 가능성에 우려했는데, 이는 공산주의 이념이 지역의 다른 국가들로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공산 국가가 다른 국가들에 영향을 미치거나 같은 정체제를 채택하도록 유도할 가능성을 도미노 이론이라고 한다.[27]

마그사이사이 행정부와 일본 정부의 적극적인 협력은 배상 협정으로 이어졌다. 이는 두 국가 간의 협정으로, 일본 정부는 필리핀에 대한 전쟁 피해에 대한 배상으로 5.5억달러를 지불할 의무를 지게 되었다.[27]

존 포스터 덜레스 미국 국무장관이 세아토 회의 참석차 마닐라에 체류하는 기회를 이용하여, 필리핀 정부는 그와 공동 방위 협의회 설립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카를로스 가르시아 부통령 겸 외무장관은 이 목적으로 덜레스 장관과 적절한 대화를 나누었다. 이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고, 마닐라 회의 종료 후 마닐라에서 미국-필리핀 공동 방위 협의회 첫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는 필리핀과 미국 간 상호 방위 조약의 조항들이 적절히 이행된 것이다.[2]

막사이사이 행정부는 1955년에 체결되어 1974년에 만료된 필리핀과 미국 간의 무역 협정인 로렐-랭글리 협정(Laurel-Langley Agreement)을 협상했다. 이 협정은 부족한 점이 있었지만, 다양한 필리핀 경제적 이해관계의 거의 대부분을 만족시켰다. 일각에서는 로렐-랭글리 협정을 1946년 무역법의 연장선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호세 라우렐을 비롯한 필리핀 지도자들은 이 협정이 미국 시장에 대한 특혜 접근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필리핀의 산업화를 위한 더 큰 자유를 실질적으로 제공한다는 점을 인식했다.[28]

이 협정은 필리핀 경제를 미국 경제에 묶어놓았던 인기 없는 벨 무역법(Bell Trade Act)을 대체했다.

냉전 시대 미국의 제국주의 또는 소련의 신제국주의, 혹은 다른 제국주의 국가들에 반대하고 아프로-아시아 경제 및 문화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일련의 회의의 절정으로, 아시아-아프리카 회의가 1955년 4월 인도네시아 반둥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의는 인도, 파키스탄, 미얀마,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총리들의 초청으로 이루어졌다. 이 정상회담은 일반적으로 반둥 회의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처음에 마그사이사이 정부는 대표단 파견에 망설였다. 그러나 나중에 카를로스 P. 로물로 대사의 조언에 따라 필리핀이 회의에 참가하기로 결정되었다. 로물로는 필리핀 대표단을 이끌도록 요청받았다.[2] 초반부터 회의는 자본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 간의 현재 냉전에서 제3의 입장인 중립주의를 촉진할 것이라는 징후가 있었다. 그러나 존 코텔라왈라 스리랑카 총리는 중립주의에 반대하며 분위기를 깼다.[2] 그는 서방 강국이든 아시아 국가이든 "꼭두각시는 꼭두각시"라고 단정적으로 말한 로물로의 즉각적인 지지에 합류했다.[2]

회의 과정에서 인도 총리 자와할랄 네루는 동남아시아 조약기구(SEATO)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했다. 로물로 대사는 날카롭고 설득력 있는 반박을 했고, 이에 네루 총리는 필리핀 대표단에게 공개적으로 사과했다.[2] 필리핀 대표단은 필리핀의 이익을 훌륭하게 대변했고, 궁극적으로 반둥 회의를 사회주의 및 중립주의 대표들의 계획에 대한 승리로 만들었다고 그들의 설명은 전한다.[2]

1951년 9월 8일 로물로 대사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일본 평화 조약에 서명하면서 필리핀을 대표해 제기한 유보 조항에 따라 필리핀 정부와 일본 정부는 수년간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일본 정부가 80억달러의 배상금 지급 요구를 충족할 수 없다는 주장을 고수하자 마그사이사이 대통령은 이른바 "냉각 기간"[2] 동안 재무장관 하이메 에르난데스가 이끄는 필리핀 배상 조사위원회를 일본에 파견하여 현지 조사를 실시했습니다.[2]

위원회가 일본이 지불 능력이 있다고 보고하자, 수석 협상관으로 임명된 펠리노 네리 대사가 도쿄로 갔다. 1955년 5월 31일, 네리 대사는 일본의 다카자키 장관과 타협안에 도달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본 정부는 배상금으로 8억달러를 지급한다. 지급 방법은 다음과 같다. 2000만달러는 필리핀 페소로 현금 지급하고, 3000만달러는 서비스로, 500만달러는 자본재로, 2.5억달러는 장기 산업 융자로 지급한다.[2]

1955년 8월 12일, 마그사이사이 대통령은 하토야마 이치로 총리를 통해 일본 정부에 네리-다카자키 합의를 수락한다고 통보했다.[2] 일본의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여 일본 총리는 1956년 3월 15일에야 필리핀 정부에 합의 수락을 통보할 수 있었다. 양국 정부 간의 공식 배상 협정은 마침내 1956년 5월 9일 말라카냥궁에서 체결되어 양국 간의 오랜 논쟁에 상당히 만족스러운 결론을 가져왔다.[2]

3. 4. 갑작스러운 죽음

1957년 3월, 막사이사이는 지방 활동을 마치고 필리핀 남부 세부 섬의 대학에서 반공 연설을 한 후, 마닐라로 돌아오던 중이었다. 기상이 악화된 가운데 비행기 추락사고로 6천 피트 상공에서 많은 수행관리들과 함께 파고 밀림에 추락하여 사망했다. 향년 50세였다.[29]

막사이사이 대통령의 임기는 원래 1957년 12월 30일에 끝날 예정이었으나, 비행기 추락 사고로 중단되었다. 1957년 3월 16일, 막사이사이는 마닐라에서 세부 시로 향했다. 그는 극동 주둔 미국군 재향군인 대회와 비사야스 대학교, 남서 대학교, 산 카를로스 대학교에서 연설했다.[29] 비사야스 대학교에서는 명예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날 밤, 오전 1시경(PST) 그는 대통령 전용기 "피나투보 산" (C-47 기종)을 타고 마닐라로 돌아갔다. 3월 17일 이른 아침, 비행기는 실종되었고, 오후 늦게 세부의 마누갈 산에 추락하여 탑승자 25명 중 기자 네스토르 마타를 제외한 모두가 사망했다는 보도가 나왔다.[30]

당시 오스트레일리아를 공식 방문 중이던 부통령 카를로스 가르시아는 마닐라로 돌아와 대통령직을 계승하여 막사이사이의 잔여 임기 8개월을 수행했다.[30] 1957년 3월 22일 막사이사이의 국장에는 약 200만 명이 참석했다.[31][32][33] 그는 사후에 "대중의 챔피언"과 "민주주의 수호자"로 불렸다.[34]

그의 유산으로는 생명 보험 증권 1매와 마닐라 교외에 제2차 대전 전에 지은 보잘것 없는 가옥이 전부여서, 생전의 청렴함에 국민들을 감동시켰다. 1958년 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막사이사이상이 제정되었다.[45]

4. 유산과 평가

그가 사망한 후 자유를 위한 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아시아 발전에 이바지하는 사람에게 주는 막사이사이상을 제정하였다. 막사이사이 대통령은 필리핀에 민주화를 토착화시키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그는 후크발라합을 섬멸하였고 민주주의를 지켜낸 점을 높이 평가받는다.[37][38]

1957년 미국 정부는 막사이사이를 기리는 기념 우표를 발행했다. 이는 자유의 챔피언 기념 우표 시리즈의 일부이다.


막사이사이 정부는 현대 필리핀 역사상 가장 청렴하고 부패가 없는 정부 중 하나로 여겨지며, 그의 통치는 종종 필리핀의 "황금기"로 언급된다. 무역과 산업이 번영했고, 필리핀 군대는 전성기를 맞았으며, 필리핀은 스포츠, 문화, 외교 분야에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필리핀은 아시아에서 청렴하고 잘 통치되는 국가 순위에서 2위를 차지했다.[35][36]

그의 대통령직은 국민 중심적이었으며, 필리핀 국민들 사이에서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높았다. 그는 "대중의 챔피언"이라는 별명을 얻었고, 후크발라합 반란에 대한 그의 공감적인 접근 방식은 후크 반군이 공산주의자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그들은 단순히 반란이 자신의 고통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생각한 가난한 농민들이었다. 그는 또한 농민들을 위한 토지 개혁으로 전국적인 지지를 얻었고, 이전 정부로부터 물려받은 정부 부패 문제에 대해서도 조치를 취했다.[37][38]

그는 1933년 6월 16일에 루스 마그사이사이(Luz Rosauro Banzon)와 결혼하여 테레시타(1934~1979), 밀라그로스(1936년생), 라몬 주니어(Ramon Jr., 1938년생) 세 자녀를 두었다.

'''그 외 친척'''

마그사이사이의 여러 친척들은 저마다 저명한 공인이 되었다.

이름설명
라몬 "준" 반존 마그사이사이 주니어(Ramon "Jun" Banzon Magsaysay Jr.)아들, 전 의원 및 상원의원
프란시스코 "파코" 델가도 마그사이사이기업가
헤나로 마그사이사이(Genaro Magsaysay)형제, 전 상원의원
비센테 마그사이사이(Vicente Magsaysay)조카, 전 잠발레스 주지사
JB 마그사이사이(JB Magsaysay)조카 손, 배우, 정치인, 사업가
안토니오 M. 디아즈(Antonio M. Diaz)조카, 잠발레스 의원 및 의회 의원
아니타 마그사이사이-호(Anita Magsaysay-Ho)사촌, 화가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53년 선거필리핀 대통령7대국민당68.90%2,912,992표1위


참조

[1] 서적 Ramon Magsaysay Microsoft Corporation 2008
[2] 서적 The Philippines: Through the centuries University of Santo Tomas Cooperative 1961
[3] 논문 The Chinese Mestizos and the Formation of the Filipino Nationality https://www.persee.f[...] 1986
[4] 서적 Official Directory https://books.google[...] Bureau of Printing 2022-05-03
[5] 서적 The Hukbalahap Insurrection: A Case Study of a Successful Anti-insurgency Operation in the Philippines, 1946-1955 https://books.google[...] Analysis Branch,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2-05-03
[6] 서적 Reader's Digest November 1987 issue: Biographical Tribute to Ramon Magsaysay 1987
[7] 서적 Ramon Magsaysay Microsoft Corporation 2008
[8] 서적 The Pacific Basin since 1945: An International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2-05-03
[9] 서적 When the Police are the Problem: The Philippine Constabulary and the Huk Rebellion http://users.ox.ac.u[...]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5-31
[10] 서적 I Promise: Magsaysay's Unique PSYOP "defeats" HUKS https://books.google[...]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22-05-03
[11] 서적 The Modern Principalia: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Philippine Ruling Oligarchy https://books.google[...] UP Press 2005
[12] 뉴스 The Philippines: Justice for the Governor http://www.time.com/[...] 2010-02-03
[13] 웹사이트 Remembering President Ramón Magsaysay y Del Fierro: A Modern-Day Moses http://www.mabuhayra[...] 2010-02-03
[14] 잡지 The Philippines: Justice for the Governor http://www.time.com/[...] 2010-02-03
[15] 웹사이트 The Cagayan Valley Railway Extension Project https://www.ejrcf.or[...] East Japan Railway Culture Foundation 2022-05-03
[16] 서적 Illusions of influence: the political economy of United States-Philippines relations, 1942–1960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17] 뉴스 The long history of the U.S. interfering with elections elsewhere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9-05-546121
[18] 연설 Inaugural Address of President Magsaysay, December 30, 1953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23-06-02
[19] 서적 Philippine History Rex Book Store, Inc. 2010
[20] 뉴스 Presidential inaugurations: Traditions, rituals, trivia https://newsinfo.inq[...] INQUIRER.net 2023-06-06
[21] 뉴스 Tales of past presidential inaugurations: Superstition and history https://businessmirr[...] Business Mirror 2023-06-06
[22] 서적 The Philippines: Through the centuries University of Santo Tomas Cooperative 1961
[23] 웹사이트 Department of Agrarian Reform (DAR) – Organizational Chart http://www.dar.gov.p[...] 2009-11-07
[24] 서적 The Magsaysay Story 1956
[25] 서적 No Other Way Out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6] 웹사이트 Ramon Magsaysay – president of Philippines http://www.britannic[...] 2023-08-27
[27] 서적 Philippine Civilization – History and Government 2006
[28] 서적 Illusions of influence: the political economy of United States–Philippines
[29] 뉴스 Speak out: Magsaysay's death http://www.sunstar.c[...] Sun Star Cebu 2008-03-21
[30] 웹사이트 Official Month in Review: March 16 – March 31, 1957 https://www.official[...] 2023-09-30
[31] 서적 Philippine History and Government National Bookstore Printing Press 1984
[32] 서적 Biography of President Lázaro Cárdenas 1952
[33] 서적 The Magsaysay Story The John Day Company 1956
[34] 서적 Philippine History Rex Book Store, Inc. 2010
[35] 웹사이트 Has the government become our enemy? https://www.philstar[...] 2022-09-28
[36] 웹사이트 Reforming the AFP Magsaysay's https://web.archive.[...] 2022-09-28
[37] 웹사이트 6 Reasons Why Ramon Magsaysay Was The Best President Ever https://filipiknow.n[...] 2022-09-28
[38] 웹사이트 Philippine History: President Ramon F. Magsaysay: Champion of the masses http://ph.news.yahoo[...] 2022-09-28
[3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Quezon Service Cross https://www.official[...] 2020-08-25
[40] 뉴스 President's Month in Review: March 16 – March 31, 1958 https://www.official[...]
[41] 웹사이트 Roster of Recipients of Presidential Awards https://archive.org/[...] 2022-07-11
[42] 웹사이트 Official Month in Review: April 1955 https://www.official[...] 2020-08-25
[43] 웹사이트 Official Month in Review: February 1956 https://www.official[...] 2020-08-25
[44] 웹사이트 マグサイサイ賞とは https://kotobank.jp/[...]
[45] 웹사이트 1957(昭和32)年■マグサイサイ比大統領が飛行機事故で死亡■フィリピンの第7代大統領、ラモン・マグサイサイ大統領の乗った飛行機がセブ島山中に墜落。49歳だった。1953年の選挙で就任。「アジアのノーベル賞」と言われるマグサイサイ賞は大統領を記念し58年に創設された。 #何の日 https://twitter.com/[...] 2019-05-20
[46] 문서 필리핀은 1899년부터 1945년까지 미국 식민지였다.
[47] 문서 막사이사이의 아버지는 품행과 성적이 모두 나쁜 자신의 아이를 진급시켜달라는 미국인 교장의 요구를 거부하여 해직당했다. 당시 주위 사람들이 엑스큐엘씨는 고지식하다고 수군대기만 할 뿐, 동정하지 않는 모습을 보며 어린 막사이사이는 올바른 사람이 존경받지 못하는 세상의 올바르지 못함을 깨닫게 되었다고 한다.
[48] 문서 라몬 막사이사이는 본래 공과대학을 다녔으나, 무리한 노동으로 폐결핵에 걸렸기 때문에 대학교를 중퇴해야 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